3 분 소요


프록시

  • em.find() Vs em.getReference()
    • em.find():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실제 엔티티 객체 조회
    • em.getReference():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미루는 가짜(프록시) 엔티티 객체 조회

46

특징

  • 실제 클래스를 상속 받아서 만들어짐
  • 실제 클래스와 겉 모양이 같다.(하이버네이트가 내부적으로 처리해준다.)
  •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진짜 객체인지 프록시 객체인지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면 된다.(이론상)
    47

  • 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의 참조(target)를 보관
  • 프록시 객체를 호출하면 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의 메소드 호출

48

프록시 객체 초기화

Member member = em.getReference(Member.class, "id1");
member.getName();

49

.getReference()를 호출하는 시점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쿼리가 나가지 않는다.
하지만, 받아온 값이 실제 사용되는 시점에는 DB에 쿼리가 나간다.(여기서는 .getName())

프록시 확인

  • 프록시 인스턴스의 초기화 여부 확인
    • PersistenceUnitUtil.isLoaded(Object entity)
    • Ex) emf.getPersistenceUnitUtil().~~~
  • 프록시 클래스 확인 방법
    • entity.getClass() 출력
  • 프록시 강제 초기화
    • org.hibernate.Hibernate.initialize(entity);
  • 참고 : JPA 표준은 강제 초기화 코드가 따로 없다.
    • 강제 호출 : member.getName()

프록시 정리

  • 프록시 객체는 처음 사용할 때 한 번만 초기화
  • 프록시 객체를 초기화 할 때, 프록시 객체가 실제 엔티티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.
    • 초기화 되면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 실제 엔티티에 접근 가능하다.
  • 프록시 객체는 원본 엔티티를 상속받음. 따라서, 타입 체크시 주의해야 함.
    • == 비교 대신 instance of 사용
  • 영속성 컨텍스트에 찾는 엔티티가 이미 있으면 em.getReference()를 호출해도 실제 엔티티 반환
    • Ex) .find() 실행 후 나중에 .getReference() 호출
    • JPA는 같은 트렌젝션(영속성 컨텍스트)안에서 조회한 값은 항상 같음을 보장해준다.
  • 영속성 컨텍스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준영속 상태일 때, 프록시를 초기화하면 문제 발생
    • Ex) em.detach(), em.close(), em.clear() ..
    • 하이버네이트는 org.hibernate.LazyInitializationException 예외를 발생시킨다.

[참고]
.getReference()등 프록시를 직접적으로 조작할 일은 많지 않지만, 즉시 로딩과 지연로딩의 베이스로 가져가기 위한 사전 학습이다.


즉시 로딩과 지연 로딩

Member와 Team이 연관관계 매핑이 되어있을 때 Member를 조회하면 Team도 같이 조회해야 할까?
단순히 member 정보만 사용하는 비즈니스 로직이 있을 수도 있다..

지연 로딩(LAZY)

@Entity
public class Member {

    @Id @GeneratedValue
    private Long id;

    @Column(name = "USERNAME")
    private String name;

    @ManyToOne(fetch = FetchType.LAZY)  // **
    @JoinColumn(name = "TEAM_ID")
    private Team team;
    
    ...
}

50


LAZY 사용

51

Member member = em.find(Member.class, 1L);

52

Team team = member.getTeam();
team.getName(); // 실제 team을 사용하는 시점에 초기화(DB 조회)

즉시 로딩(EAGER)

Member와 Team을 자주 함께 사용한다면?

EAGER 사용

@Entity
public class Member {

    ...

    @ManyToOne(fetch = FetchType.EAGER) // **
    @JoinColumn(name = "TEAM_ID")
    private Team team;

    ...

}

53

즉시 로딩(EAGER)은 Member 조회 시 항상 Team도 조회
JPA 구현체는 가능하면 조인을 사용해서 SQL 한번에 함께 조회

프록시와 즉시로딩 주의

  • 가급적 지연 로딩만 사용(특히 실무)
  • 즉시 로딩을 적용하면 예상하지 못한 SQL이 발생
    • Ex) Member만 조회했지만, 연관관계 매핑된 다른 테이블들이 같이 Join되서 나감.
    • 매핑된 테이블이 많으면 모두 쿼리로 나가기 때문에 쿼리 복잡 + 성능 저하
  • 즉시 로딩은 JPQL에서 N+1 문제를 일으킨다.
    • N : 추가 쿼리, 1 : 최초 쿼리
    • Ex) em.createQuery("select * from member m", Member.class).getResultList();
      • SQL 번역 : Member만 가져옴 -> Team이 즉시 로딩으로 설정 -> 즉시 로딩은 가져올때 값이 다 들어있어야 한다. -> select * from Team Where ...
  • @ManyToOne, @OneToOne은 기본이 즉시 로딩이기 때문에 지연 로딩으로 설정해줘야 한다.
  • @OneToMany, @ManyToMany는 기본이 지연로딩이다.


지연 로딩 활용

이 태그의 내용은 단지 이론적인 것이며, 실무에서는 무조건 지연로딩을 사용해야 한다.

  • MemberTeam은 자주 함께 사용 -> 즉시 로딩
  • MemberOrder는 가끔 사용 -> 지연 로딩
  • OrderProduct는 자주 함께 사용 -> 즉시 로딩

54

실무

  • 모든 연관관계에 지연 로딩을 사용!
  • 실무에서 즉시 로딩을 사용하면 안된다.
  • JPQL fetch join이나, 엔티티 그래프 기능을 사용!(N + 1 문제 해결)
  • 즉시 로딩은 상상하지 못한 쿼리가 나간다.


영속성 전이(CASCADE)

  • 특정 엔티티를 영속 상태로 만들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영속 상태로 만들고 싶을 때 사용.
  • Ex) 부모 엔티티를 저장할 때 자식 엔티티도 함께 저장.

55

영속성 전이 : 저장

@OneToMany(mappedBy="parent", cascade=CasecadeType.PERSIST)

56

영속성 전이 : 주의!

  • 영속성 전이는 연관관계를 매핑하는 것과 아무 관련이 없다.
  • 엔티티를 영속화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영속화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뿐이다.

CASCADE 종류

  • ALL : 모두 적용
  • PERSIST : 영속
  • REMOVE : 삭제
  • MERGE : 병합
  • REFRESH : REFRESH
  • DETACH : 준영속

사용 조건

  • 라이프 사이클이 거의 유사할 때
  • 소유자가 하나일 때(Parent-Child)
    • 하나의 부모가 자식들을 관리할 때(다른 객체가 관여한다면 사용X)


고아 객체

  • 고아 객체 제거 : 부모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끊어진 자식 엔티티를 자동으로 삭제
  • orphanRemoval = true
  • Parent parent1 = em.find(Parent.class, id);
    parent1.getChildren().remove(0); // 자식 엔티티를 컬렉션에서 제거
  • DELETE FROM CHILD WHERE ID=?

주의

  • 참조가 제거된 엔티티는 다른 곳에서 참조하지 않는 고아 객체로 보고 삭제.
  • 참조하는 곳이 하나일 때 사용해야 함! (Ex. 게시판 한 페이지에서만 사용하는 첨부 파일 등..)
  • 특정 엔티티가 개인 소유할 때 사용
  • @OneToOne, @OneToMany만 사용 가능

[참고]
개념적으로 부모를 제거하면 자식은 고아가 된다. 따라서, 고아 객체 제거 기능을 활성화 하면, 부모를 제거할 때 자식도 함께 제거된다. 이것은 CascadeType.REMOVE처럼 동작한다.


영속성 전이 + 고아 객체

  • CascadeType.ALL + orphanRemoval=true
  • 스스로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엔티티는 em.persist()로 영속화, em.remove()로 제거
  • 두 옵션을 모두 활성화 하면 부모 엔티티를 통해서 자식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음
  • 도메인 주도 설계(DDD)의 Aggregate Root 개념을 구현할 때 유용


<출처 : 인프런 -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(김영한)>

댓글남기기